본문 바로가기
금융의 정석

자산이란 무엇인가요?

by scotshim 2013. 7. 16.

자산 = 부채 + 자본

 

"회계 원리" 회계 (accounting) 에 대해서 공부를 시작한 사람이라면 가장 기본적으로 배우는 공식이다. 자산은 부채와 자본의 합이다. 그리고 차변과 대변에 대해서도 배울 것이고...T 계정을 그리고, 차변 대변을 맞춰가면서 하나씩 하나씩 책 속의 문제를 풀어나간다. 

 

그러면, 회계를 조금 공부했으니, 자산이란 무엇인가라는 질문을 받았다고 해보자. 좀 더 현실적으로 은행이나 증권회사와 같은 금융기관 취업을 위한 신입사원 면접에서 면접관이 "자산이란 무엇인가요?"라는 질문을 했다고 가정해 보자. 이때, "자산은 부채와 자본의 합입니다"라고 대답을 하는 것도 맞지만, 좀 더 좋은 점수(?)를 따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이 "자산에 대한 정의"를 생각해보면서, 답변해 보는 것은 어떨까 한다.   

 

참고로, 자산에 대한 기본 개념 및 정의는 기업 가치 평가까지 연결되어 있어, 매우 중요한 개념이다.  

 

자산 (Asset)이란 무엇인가? 자산에 대한 정의를 살펴보자.  

 

자산은 미래에 경제적 효익을 주는 것이다. 반대로 미래에 경제적 효익을 주지 않는 다면 이는 자산이라고 할 수 없다. 그러면 재무제표 중 자산 부채 자본을 기록하는 대차대조표 (Balance Sheet)의 자산이라는 항목에 포함된 녀석들을 상기의 정의에 비추어 하나씩 살펴보자. 우선 자산의 가장 첫번째 항목으로 현금이 등장한다. , 현금은 가지고 있으면, 무엇이든지 살 수 있다. 즉 경제적 효익을 바로 가져다 준다. 다음으로 자주 등장하는 것이 매출채권 (Account Receivable)이다. 매출채권은 일정기간이 지나면 매출처로부터 돈을 받을 권리이다. 즉, 일정 기간이 자나 (*미래) 돈을 수령할 ("경제적 효익이 생김) 권리가 매출채권이고, 이는 자산의 정의에 완전 부합하므로 매출채권은 대차대조표의 자산에 떵하니 자리 잡고 있다. 하지만, 일정기간이 지난 후에도 돈을 못받거나, 거래처가 부도가 나서 돈을 지급하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하면, 이러한 매출채권은 더 이상 자산이라고 부르지 못할 것이다. 왜냐하면, 자산의 정의에 입각할 때, 미래에 경제적 효익을 주지 못할 것이 명백하기 때문이다. 즉 이러한 불량 채권들은 자산의 항목에서 제외시켜주어야 할 것이다. 이것이 바로 부실채권 (Bad debt)이라고 하며, 자산에서 사라져 버리고 자산에서 사라진 것은 회사입장에서는 손실이 되는 것이다.

 

그 다음으로 대표적인 자산의 대명사는 재고자산 (Inventory)이다. 재고자산의 정의는 "회사가 판매를 목적으로 보유하고 있는 물건"이다. 미래에 소비자에게 판매할 경우, 회사에 돈이라는 경제적 효익을 가져다 주는 물건으로, 재고자산은 상기의 자산의 정의에 역시나 일치한다. 하지만, 매출채권과 마찬가지로 회사가 보유하고 있는 재고자산이 시간이 지나 가치가 떨어지거나, 제품의 질이 떨어져 (상하거나) 팔 수 없는 상태가 될 경우, 이러한 재고자산은 가치가 없고 미래의 경제적 효익을 가져다 줄 수 없다. , 더 이상 자산이라고 부를 수 없다. 이에 이러한 하락한 가치만큼 재고자산은 줄여서 장부에 기록해야 하며, 이는 회사의 손실이 된다.

 

마찬가지로 유형자산 (Fixed Asset)이다. 토지, 기계장치 등은 생산활동에 투입되어 회사가 팔 수 있는 제품을 만들어 낸다는 점에서 궁극적으로 회사에 경제적 효익을 가져다 주는 것들이다.

 

부채란 무엇인가? 부채는 빌려온 돈이다. , 갚아야 할 돈이다. 가장 대표적인 것이 상거래에서 발생한 매입채무일 것이다. 그리고, 차입금이 있을 것이다. , 단기차입금 및 장기차입금으로 구분하여 1년 이내에 갚기로 하고 빌린 돈 및 1년이 넘어서 갚아도 되는 돈으로 구분된다. 그러면, 자본이란 무엇인가? 간단히 자기 돈이다. 부채가 남에게서 빌린 돈 (타인 자본이라고도 함)이라면, 자본이란 자기자본, 즉 자기가 직접 투자한 돈이다.

기본적으로 회사는 남의 돈인 부채와 자기 돈인 자본으로 자산을 구입하거나 보유하고 있는 것이다.

다시 실제 회사가 설립되어 회사가 폐쇄되는 과정을 간단히 살펴보면, 자산, 부채, 자본의 개념이 명확해 질것이다. 회사는 자본금으로 설립이 된다. , 법적 요건에 맞추어 일정 금액 이상의 자기자본만 있으면, 회사를 설립할 수 가 있다. , 회사는 100원의 현금을 자본으로 투자하여 설립된다고 해보자. 이제 생산에 필요한 토지를 구매하고, 공장을 건설하고 필요한 기계장치를 구매하여야 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모자란 돈은 금융기관으로부터 빌리게 된다. 200원이라는 돈을 빌린 경우라면 부채로 200원을 기록하고, 300원으로 토지, 공장 및 기계장치 등을 구매하여 자산으로 기록해 나간다. 이제 공장이 완공되고 기계장치도 setting이 완료되었다면, 물건을 팔기 위해서 제조를 시작해야 한다. 원재료도 구매하고 생산시설에 투입하여 제품이 완성되면, 바로 재고자산을 보유하게 되고, 다시 이를 팔면 매출채권이 되고, 다시 매출채권이 회수되면 현금으로 전환된다. 이러한 현금은 다시 차입금을 상환하기 위해 사용된다.

그러면, 손익계산서 (Income Statement)로 옮겨 가보자. 손익계산서는 수입과 지출을 기록하는 곳이다. 생산한 제품을 판매하면 매출로 기록을 하고 동시에 판매된 제품을 생산하기 위해 소요된 매출원가(제조원가)를 기록하고, 다시 제품을 판매하기 위해서 지출된 광고비 등이 있다면 별도의 판매관리비로 기록하게 된다. 여기에 공장을 짓기 위해 빌린 돈에 대해서 이자를 지급하고 있다면, 이자비용도 기록해야 할 것이다. 이렇게 수입에서 지출을 차감하면 이익 또는 손실이 발생하며, 이익이 발생한 경우에는 세금을 지불하고 최종적으로 회사의 이익을 볼 수 있다. 이러한 수입지출 기록부가 바로 손익계산서이다. 매출에서 매출원가 차감하고 판매관리비를 차감하면 순수히 영업활동에서 발생한 이익으로 영업이익이라고 하며, 그 다음으로 영업외적인 수익/비용, 즉 이자 발생, 환율의 움직임에 따른 이익/손실 등을 별도로 기록한다. , 영업이익과 영업외이익을 모두 고려하여 회사의 순이익까지 보여주는 것이 바로 손익계산서이다.  

 

그러면, 이번에는 현금흐름표 (Cash Flow Statement)로 가보자. 현금흐름표는 실제 돈의 흐름을 보여주는 표이다. , 자산에서 가장 중요한 Cash 인 현금의 움직임을 모두 기록하고 있다. 현금은 왕 (Cash is king)이라고 하듯이, 회계에서는 이 현금 흐름 파악 및 현금 잔고를 맞추는 것이 제일 중요하다. 현금흐름은 크게, 영업활동, 투자활동, 재무활동으로 회사의 활동별로 구분하여 보여주고 있다. 이처럼 회사의 활동은 상기의 세가지 활동으로 크게 요약될 수 있다. 상기의 예로 보면, 제조업체의 영업활동은 제품을 팔아서 돈을 버는 활동이다. 투자활동은 토지 구매, 공장 건설 및 기계장치 구매 등 영업활동을 하기 위해서 투자해야 하는 돈이다. 마지막으로 재무활동은 이러한 투자를 하기 위해 필요한 돈을 빌리거나, 자기자본을 투입하는 활동이다.